티스토리 뷰



기초연금 금액, 상황별로 완벽 정리! - 이것만 알면 끝! 🌟

안녕하세요! 오늘은 기초연금 대상자와 지급금액에 대해 꼼꼼히 알려드릴게요~ 😊

 

 

 

기초연금을 받을 수 있는 기본 조건

 

만 65세 이상이신가요?

대한민국 국적이 있으신가요?

현재 국내에 거주하시나요?

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이하인가요?

 

➡️ 모두 '네'라고 답하셨다면 기초연금을 받으실 수 있어요!

 

 

 

 

 얼마를 받을 수 있나요?

 

자, 여기서 중요한 점!

모든 분들이 같은 금액을 받는 것이 아니랍니다. 받으시는 금액은 아래 상황에 따라 달라져요:

 

본인의 소득인정액

가구형태 (단독가구/부부가구)

국민연금 이력

직역연금 수급 여부

 

 

기준연금액 받는 경우

 

기준연금액* 334,840원  2024년1월~2024년12월

이하 4가지 경우에 행당할 경우

국민여금을 받지 않고 계시는 분
(무연금자)
국민연금 월 급여액이
502,210원 이하인 분

*국민연금법 제52조에 따른 부양가족연금액 제외
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
장애연금을 받고 계신 분
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, 장애인연금을 받고 계신 분 등

 

 

 

위의 4가지 경우 아닐 시

 

소득재분배급여에따른 산식  또는 국민연금급여액   고려해야 합니다

 

‘A급여액’에 따른 기초연금액 = (기준연금액 -2/3×A급여) + 부가연금액

‘국민연금 급여액 등’에 따른 기초연금액 = 기준연금액의 250% - 국민연금 급여액등*

 

 

 특별히 기억하세요!

 

직역연금 수급자라면?

원칙적으로는 기초연금을 받을 수 없어요. 해당되는 직역연금은:

 

공무원연금

사립학교교직원연금

군인연금

별정우체국연금

 

하지만! 각각의 직역연금별로 기초연금 수급 가능 여부가 다르니 꼭 확인해보셔야 해요!

 

 

 

 

주의

매년 선정기준액이 바뀌니 정기적으로 확인하세요

상황이 바뀌면 받는 금액도 달라질 수 있어요

궁금한 점이 있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나 국민연금공단에 문의하세요!